공지사항 및 참고자료

시스템에어컨 시공 절차 <주거시설 편>

(주)진성시스템 2022. 5. 13. 17:46

 

아파트와 주택을 불문하고

내부 구조, 천고의 높낮이, 타공 할 수 있는 위치와

실외기를 둬야하는 위치까지 다르다는 것! 알고 계신가요?

뚫고, 박고, 끼우고 그야말로 대공사!

시스템에어컨!

 

가정집의 경우

거실에 에어컨, 안방에 벽걸이..

투인원 설치 많이들 하시죠?

 

에어컨에서 거리가 먼 아이들 방이나

뜨거운 요리를 하는 부엌은 찬바람이 잘 닿지 않아서

여간 불편한게 아니더라구요

 

이제는 에어컨도 인테리어의 한분야로 자리잡았습니다

한켠에 자리를 차지하는 에어컨 보다는 매립형 에어컨으로

깔끔함을 추구하시는 분들도 매우 많아졌어요

 

올인원·멀티 (최대 5대의 실내기 : 하나의 실외기)에어컨은

온 집안 곳곳을 시원하게 케어해줄 수 있는 점이 강점이에요

상담부터 시공, 사후관리까지 꼼꼼하게 알려드릴게요

 

[ 기술/견적 상담 ]

보통 실내기는 창가 쪽으로 많이들 설치하시는데요!

천장에 구멍을 뚫는 작업이다보니 사전에

꼼꼼한 상담을 통해 건물의 설계도도 참고하며

최대한 고객님의 니즈에 맞추어 실내기 위치를 선정합니다

[보양 작업]

본격적인 설치 전 생기지 않도록 보호하는 사전작업입니다

바닥보양은 시공 시 기본으로 진행하고 있고

입주 중이시거나 가구가 배치되어 있다면

비닐보양을 추가적으로 진행합니다

 

비닐보양 추가 금액 있습니다

 

[ 타공·천공 작업 ]

실내기가 들어갈 자리와 방과 방을

연결하는 벽에 구멍을 뚫는 작업입니다

구멍은 최대한 적게 뚫는게 좋지만 설치하시고자 하는 방의 수와

배관의 갯수만큼 건물 구조에 의해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는 점!

실내기 자리 타공 / 코아 작업으로 뚫은 벽 (예시)

 

천장에 내장된 소방관, 스프링클러, 전기배선 등을 피해서

실내기 자리를 제외하고도 최소 2개 ~ n개 정도 타공하게 됩니다

허나 배관 특성상 고정 간격이 너무 넓으면

휘어져 쳐지므로 규정범위 1.5M 간격을 넘기지 않도록

중간 타공을 더불어 진행해야해요

(배관이 휘면 물이 고여서 배수가 안되고 냄새의 원인 또는 역류의 위험이 있습니다)

천장 구석에 설치된 환기구를 열어서 배관 작업하기도 한답니다!

천장에 설치된 환기구

 

[ 배관 및 드레인 작업 ]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해주는 가장 중요한 친구, 배관입니다!

배관에는 크게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배수를 위한 드레인 배관, 냉매가 순환하는 동배관

보온재에 싸여있는 드레인 / 각 방에서 모인 냉매 배관 / 실내기와 냉매배관 연결부

 

아파트 천장 구조 확인 후 각 기계자리를

타공을 하고나면 제일 먼저 하는 작업

각 실내기마다의 생기는 응축수를 배수해 줄

드레인 (pvc) 배관 설치입니다

결로현상 방지를 위해 보온재 작업을 더해주는게 기본이에요

pvc 드레인 배관

 

냉매 배관은 설치시 배관이 꺾이지 않는게 중요한데

최대한 부드럽게 구부러져야 냉매가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습니다

연결 시 용접으로 진행하며 실외기랑 연결되는 친구에요

 

 
동배관, 냉매 배관

 

레인 배관은 배수로 방향으로 이동하고

냉매 배관은 실외기 방향으로 이동하는 걸 보실 수 있습니다

 

[ 실내·외기 설치 ]

배관들도 마무리를 하였으니

실내기를 설치해줍니다

실내기 설치

 

배관들은 모아 실외기에 연결해줍니다

각 방에서 하나씩 모이니 확실히 두껍습니다

실외기 설치

냉매 배관에는 먼지나 습기가 있으면

얼음이 얼어 굴러다니거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배관 연결부에 빈틈이 없는지,

가스가 새지는 않는지 확인을 해야하기에

꼭! 꼭! 관내 진공 상태를 확인합니다

좌- 진공상태 확인 / 우- 냉매전자저울

 

진공이 잘 잡혔다면 냉매 가스를 주입해줍니다

배관 길이에 따라 들어가는 가스의 량이 다르기 때문에

배관 길이를 추가했다면 가스가 모자라지 않도록

추가 주입을 해야합니다

 

 
삼성
LG

 

판넬을 부착하고 기기가 정상 작동하는지 시운전까지 실행하면

거의 다 끝났다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및 도배]

같은 도배지를 구하기도 어렵고 구해도 본래 도배되어 있는

벽지 색상과 똑같다고 장담할 수 없기 때문에

주로 스킬도배(겉지만 오려내고 시공 후 다시 덮어 풀칠)를 합니다

 

사진에는 마르지 않아서 티가 나지만

풀이 마르고 나면 정말 신경써서 찾아야만 찾을 수 있어요

 

중간에 설명은 못 드렸지만 분전함과 전선들도 설치해야합니다

 

시공만 한다고 끝이 아니죠?

가전제품은 오랫동안 쓰는만큼 사후관리가 정말 중요해요

 

 

내가 쓰는 제품에 문제가 생기면

제조사 (삼성·LG)에서 A/S 2년 보장!

 

시공 상 문제가 생기면

시공사 (㈜진성시스템)에서 A/S 10년 보장!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중간중간 넣을까 말까 고민한 정보들이 너무 많네요

아쉽게 넣지 못한 TMI나 다른 정보들은

앞으로도 계속 포스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배관커버 실내 / 배관커버 실외 / 배관커버 X